지난 4월 금융보안원이 분산ID 기반 금융권 신원관리 프레임워크를 금융보안표준으로 제정한 이후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공기관 최초로 분산ID 기반 모바일 사원증 도입을 발표했습니다. 또한 행정안전부가 모바일 공무원증과 운전면허증을 분산ID화 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기관과 기업이 분산ID 적용에 앞다퉈 나서고 있습니다.
하지만 분산ID의 앞날이 마냥 밝은 것 만은 아닙니다. 분산ID가 ‘단순 로그인’을 넘어 더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기 위해선 해결해야 될 점이 많습니다. 최근 전자신문을 통해 보도(공공·금융서비스 분야 ‘DID 단독인증’ 불발…업계 “사형선고” 격앙)된 바와 같이,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공/금융 서비스에서 분산ID 인증과 본인확인기관 2차 확인을 모두 요구하는 시행령 방침을 밝히는 등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이 산재해있기 때문입니다.
주요 내용
– 디지털 신원의 발전과 분산ID
– 국내 DID 현황
– ‘신원’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와 DID